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불러온 연금시장의 변화
베이비부머가 은퇴를 시작하면서 연금 시장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생기고 있습니다. 대다수 은퇴자들은 국민연금, 퇴직급여, 주택연금 자산을 기반으로 다달이 생활비를 마련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베이비부머가 은퇴를 하기 시작한 최근 연금 시장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을까요?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불러온 연금시장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불러온 연금시장의 변화
1955년부터 1963년 사이 대한민국에는 700만 명이 넘는 신생아가 태어났는데, 이들을 베이비부머라고 합니다. 그들이 사회에 진출해 경제생활을 하던 시절 대한민국은 커다란 경제 성장을 이뤄냈습니다. 베이비붐 세대는 대한민국의 눈부신 경제 성장과 산업화를 일궈낸 주역입니다.
연금제도 또한 베이비부머가 한창 경제활동을 하던 시절에 기본적인 골격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1988년에 국민연금 제도가 도입되었고 1994년 6월에 저축금액을 소득공제 해주는 개인연금 상품이 처음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이 상품은 2000년 12월까지 판매됐고,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연금저축으로 대체되었습니다.
2005년 12월에는 퇴직연금이 도입되었습니다. 사용자가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할 퇴직급여 재원을 회사 바깥 금융 회사에 맡기도록 하고, 근로자가 퇴직급여를 연금으로 수령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 것입니다.
2007년 7월에는 고령자가 거주주택을 담보로 연금을 받는 주택연금이 도입되었습니다.
그리고 2014년 7월에는 기초연금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기초노령연금이 도입되었습니다.
이로써 기초연금,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의 5층 연금 보장체계가 완비된 셈이다.
2023년은 베이비부머의 막내인 1963년생이 60세가 되는데, 60세는 근로자의 법적 정년에 해당한다. 700만 명이 넘는 베이비부머들이 주된 직장을 떠나 은퇴 생활을 시작한 셈입니다. 베이비부머들은 자의가 됐든 타의가 됐든 5층 보장 연금제도하에서 연금 자산을 축적해 왔기때문에 이전 세대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노후 소득을 확보하기 용이해 보입니다. 베이비부머들은 완성된 5층 연금의 수혜를 받으며 은퇴하는 첫 세대가 되는 셈입니다. 이렇듯 베이비부머들이 본격적으로 은퇴 생활을 시작하면서 연금 시장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에서의 변화
올해 1월 노령연금을 월 200만 원 이상 받는 사람이 지난해보다 3배나 늘어났다고 합니다. 국민연금 가입자가 노후에 받는 연금을 노령연금이라고 합니다. 2022년 12월에는 노령연금을 200만 원 넘게 받은 사람이 5410명이었는데, 올해 1월에는 그 수가 1만5290명으로 2.8배나 늘어났습니다.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20년 넘는 사람이 받는 노령연금을 ‘완전노령연금’이라고 하는데요. 2023년 3월 노령연금 수급자들이 받는 연금액은 월평균 62만 원으로 아직 용돈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완전노령연금 수급자들은 월평균 103만 원을 수령하고 있습니다. 월 100만 원 이상 노령연금 수급자 수도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6년 12만8304명이었던 월 100만 원 연금 수급자는 2022년에 56만7149명으로 늘어났습니다. 6년 사이에 4.4배가 늘어난 셈입니다. 지금도 증가세는 계속되고 있어, 2023년 1분기에만 9만 명 이상 늘어나서 그 수가 66만 명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전체 노령연금 수급자에서 월 100만 원 이상 수급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2016년만 해도 3.8%에 불과했던 월 100만 원 이상 수급자 비중이 2022년에 10%를 넘어섰고, 올해 3월에는 12.2%에 이르렀습니다.
주택연금 신규 가입자 변화
베이비부머의 퇴직은 주택연금 시장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지난해 주택연금 가입자가 수가 사상 최대로 많았습니다. 2016년 이후 주택연금 가입자 수는 해마다 1만 명 남짓 증가하고 있었는데, 지난해에는 가입자가 1만4580명이나 늘어났습니다.
주택연금 가입자가 급증한 이유에 대해 대다수 전문가들은 주택 가격 하락에서 그 원인을 찾고 있습니다. 주택연금 가입자가 받는 연금액은 가입 당시 집값에 따라 결정되는데, 일단 연금액이 한번 정해지고 나면 이후 집값이 오르든 떨어지든 동일한 연금액을 계속 수령하게 됩낟. 따라서 주택 가격이 하락세로 접어들면 주택연금 가입자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하지만 최근 주택연금 가입자가 증가한 원인을 전적으로 집값 하락으로만 볼 수는 없습니다. 집값 하락만 원인이라고 한다면 집값이 상승할 때는 가입자가 줄어야 할 텐데, 그렇지 않았습니다. 2016년부터 2021년 사이 집값이 크게 오르던 시기에도 주택연금 가입자가 한 해 1만 명씩 늘어났습니다.
그러므로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주택연금 수요자의 증가에서 찾아야 할 것입니다. 베이비부머들은 주된 직장에서 퇴직하면서 월급을 대신할 소득원을 찾아야 하는데 이때 베이비부머가 보유한 자산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것이 거주주택입니다. 베이비부머의 퇴직으로 주택연금 수요자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집값 하락이 가입을 서두르게 하는 트리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베이비부머의 대량 퇴직으로 최근 국내 연금 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살펴보았습니다.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긴 베이비부머가 노령연금을 개시하면서 고액 연금 수령자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으며 주택연금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더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블링블린이의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 인출 시 체크 사항: 연금개시 신청시기, 연금인출 방법과 세금 (0) | 2023.09.19 |
---|---|
서울 청년문화 패스 사업 신청기간, 신청방법, 신청자격 (1) | 2023.09.17 |
서울시 다자녀 다둥이행복카드 발급신청 발급대상 발급조건 알아보기 (1) | 2023.09.15 |
IRP 가입자가 연금 수령 중 사망하면 연금수령은 어떻게 될까요? (0) | 2023.09.14 |
에어컨 효과 극대화 하는 효율적인 에어컨 사용방법 (0) | 2023.08.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