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과 주가의 상관관계
물가는 오르는데 왜 주가는 떨어질까요? 오늘은 인플레이션과 주가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인 물가상승률과 주가의 흐름
일반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면 주가도 같이 상승하게 됩니다. 즉, 기업이 제공하는 재화나 서비스 가격이 상승하면 기업의 이익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주가도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최근은 물가가 크게 상승했지만 주식 가격은 오히려 크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물가가 오르는데 주식 가격은 급락하는 것일까요? 그리고 언제 주가가 물가를 따라 상승하게 되는 것일까요?
물가가 오르는데 왜 주식 가격이 하락할까?
기업은 생산재를 사와서 부가가치를 더한 뒤 소비재를 팔게 됩니다.
예를 들어 100원에 생산재를 구매하여 120원에 판매를 하여 20원을 이익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원가가 올라 생산재를 130원에 구매를 하여 120원에 판매를 한다면 손해를 보게 됩니다. 왜냐하면 기업은 원가가 오른다고 해서 바로 그것을 소비 가격에 반영을 할 수 없기 때문이지요. 이른바 생산재 시장과 소비재 시장은 분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즉, 생산재 시장의 수요, 공급과 소비재 시장의 수요, 공급은 분리되어 있습니다.
최종 소비재 가격을 올리기 어려운 이유
- 수요 감소 우려
- 경쟁자 등장으로 시장 점유율 하락 우려
- 자기 시장 잠식 우려
이렇듯 물가 상승에도 주가가 하락하는 첫번째 이유는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생산자 가격이 상승했으나 이를 소비자 가격에 전가하지 못해 기업 이익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과 생산자 물가 상승률 변동을 보더라도 생산자 물가는 변동이 크지만 소비자 물가는 변동이 훨씬 작습니다. 기업은 물가 상승 초기에 소비자 물가와 생산자 물가 차이 정도의 손해가 발생하고 그 차이가 클수록 손해 폭이 확대됩니다.
물가 상승에도 주가가 하락하는 두 번째 이유는 물가가 상승하면 금리도 따라서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실질 금리가 하락하거나 일정하더라도 물가가 상승하면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승하여 명목 금리가 상승합니다.
명목금리가 급등하면 기업의 금융 비용이 상승하고, 주식 가격이 하락하며 경제 전체의 수요가 감소하게 됩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 생산자 물가는 상승 둔화되고 소비자 물가는 계속 상승하게 되므로 기업의 이익은 시차를 두고 증가하게 됩니다. 기업은 불황기에 구조조정 등 비용 감축을 실시한 후이기 때문에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이익 폭도 증가합니다. 금리 인하 시기가 도래하면 시차를 두고 주가가 상승합니다. 단기적으로는 주가와 물가가 상반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주가가 물가를 따라잡게 됩니다.
얼마의 시간이 흘러야 주가가 물가를 따라 상승하게 될까요?
2005년부터 2022년 보유기간 별 연간 실질 실효 수익률을 살펴보면 아주 낮은 인플레이션(1% 이하) 일 경우에는 단기와 장기 투자 수익률의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그런데 아주 높은 인플레이션(4% 이상)을 봤을 때 단기와 장기 투자 수익률의 차이가 큽니다. 이 때는 주식을 5년 이상 보유 시 수익률이 가장 높게 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과 주식 투자 수익률을 봤을 때 인플레이션이 낮을 때는 단기 주식 투자 수익률과 장기 주식 투자 수익률의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그런데 인플레이션이 높을 때일수록 단기 주식 투자 수익률과 장기 주식 투자 수익률 차이가 크며, 물가 상승률 이상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약 3년~5년의 투자 기간이 필요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 주식 투자 기간이 5개월에서 6개월 정도라고 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현재 상황에서 시장에 접근을 하면 수익을 많이 못 내게 됩니다. 3년에서 5년의 기간을 잡고 투자를 한다면 충분히 주식 가격이 물가 상승률을 따라잡고 그 이상의 수익을 볼 수 있겠습니다.
현재 상황은 단기적으로 주식 수익률이 좋지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주가가 물가 상승을 따라 올라갈 수 있는 상황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인플레이션이 높은 지금은 장기 수익률과 단기 수익률의 차이가 가장 큰 시점입니다. 따라서 주식을 매도하기보다는 3년~5년 정도 보유를 하는 것이 올바른 투자 전략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결론
물가가 오르는데 왜 주가는 떨어질까?
인플레이션이 심할 경우 단기적으로는 주가가 하락 (지금처럼 물가가 예상치 못하게 급상승 시 더 큰 충격)
언제 주가가 물가를 따라 상승하게 될까?
최소 3년~5년 정도 투자할 생각이라면 지금부터 내년 초 좋은 매수 기회가 될 것
#인플레이션과 주가의 상관관계
'블링블린이의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 관련 연말정산: 소득공제 대상 연금 세액공제 대상 연금 개인연금 세액공제 한도 (0) | 2022.11.25 |
---|---|
연금 앞당겨 받기 조기노령연금 신청 나이 조건 수령액 (0) | 2022.11.23 |
이혼 할 경우 연금은? 황혼이혼과 연금 분할, 분할연금 청구방법 (0) | 2022.11.13 |
디폴트 옵션 가입 대상 디폴트 옵션 상품의 종류 (0) | 2022.11.09 |
은퇴 후 생활비, 노후자금은 얼마면 될까요? 4%룰 (0) | 2022.11.05 |
댓글